회사소개

기술자료

품질관리

고객센터

홈페이지 가이드

브레이크마찰재

브레이크란?
브레이크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 중인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자동차를 빨리 달리게 하는 기술은 자동차를 잘 세우는 기술이 선행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운동에너지는 무게에는 비례하고 속도에는 자승에 비례한다는 공식(E=1/2MV2)에서 보듯이 자동차차 주행속도의 증가는 자승의 제동력을 필요로 한다. 다시 말해 브레이크 장치의 발전은 자동차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기본이 되는 것이다. 브레이크장치는 운전자의 페달 조작에서 발생한 압력이 각종 배력 장치와 분배장치를 거쳐 최종마찰이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패드 또는 라이닝에 그 압력이 전달되어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로터를 정지시키는 것이다. 그림에서 보듯 브레이크 장치는 간단히 디스크 브레이크와 드럼 브레이크로 나눌 수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가 개발된 초기에는 앞 바퀴에는 주로 디스크 브레이크가 적용되고 뒷바퀴에는 드럼 브레이크가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점차 뒷바퀴에도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가 적용되는 추세이다. 그만큼 디스크 브레이크가 드럼 브레이크에 비해 장점이 많다는 것이다.
마찰재의 요구성능 요약
  • 1 요구하는 마찰계수(μ) 가질 것
  • 2 마모가 적을 것
  • 3 페이드(fade) 현상이 적을 것
  • 4 마찰계수의 복원력이 좋을 것
  • 5 로터와의 마찰시 소음 발생이 적을 것
마찰재 재질
대부분의 브레이크 패드는 페놀수지를 결합재로 사용하며 그 외 충진재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석면계 : 석면 화이버(Fiber)를 사용하는 재질 (함량 약 20% ~ 60%)
  • 세미 메탈릭계(Semi-Metalic) : 스틸 화이버(Steel Fiber)를 사용하는 재질 (함량 약 35% ~ 60%)
  • 로우 스틸(Low-Steel)계 : 스틸 화이버 및 유, 무기계 화이버를 혼용 사용하는 재질 (함량 약 5% ~ 35%)
  • 비석면 유기계(NAO) : 석면, 스틸 화이버를 제외한 유, 무기계 화이버만 사용하는 재질
마찰재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면 석면의 유해성 때문에 세미 메탈릭계를 거쳐
오늘날 로우 스틸 및 비석면 유기계로 진행해 왔지만 마찰재의 특성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특히 석면의 유해성때문에 대체된 재료들 중에는 오히려 인체에 더욱 유해한 중금속 성분들이 함유될 가능성이 있다.
Brake Grab
  • 마찰재 청결 상태 점검
  • 캘리퍼와 디스크의 조립 점검
  • 캘리퍼정착 볼트 점검
  • 유압회로의 풀림, 꼬임, 막힘 점검
  • 캘리퍼 피스톤 또는 슬라이딩 부위 점검
Brake Noise
  • 로타의 과다 마모
  • 마찰재의 과다 마모
  • 마찰재의 재질 불량
  • 슈의 뒤틀림 현상
  • 드럼 또는 디스크의 뒤틀림
  • 휠 베어링 헐거움
  • 캘리퍼 조립 점검
Vibration
  • 디스크(로타)의 과다마모
  • 디스크의 수평면 점검
  • 휠 바란스 점검
Brake Wear
  • 패드재질 또는 제조불량
  • 캘리퍼 피스톤 또는 슬라이딩 불량
  • 디스크 표면의 과도한 거칠음
Low/Spongy Pedal
  • 마스터 실린더의 오일 부족
  • 브레이크액에 공기 유입
  • 마찰재와 드럼의 간격초과
  • 마찰재 재질 불량
High Pedal Force
  • 마찰재의 과다마모
  • 캘리퍼 또는 휠실린더 작동불량
  • 드럼 과다 마모로 열팽창
  • 마찰재의 마찰계수 미달
Brake Drag
  • 마찰재와 드럼의 간격 협소
  • 마찰재 재질 열팽창
  • 리턴 스프링
  • 캘리퍼 피스톤의 씰 불량
Brake Pull
  • 마찰재의 오염
  • 프로포셔닝 발브 점검
  • 회로 내 공기 유입
  • 타이어 편마모
  • 네 바퀴 유압전달 불균형